카테고리 없음

노인 나이 상향 조정 70세? 복지혜택과 연금 총정리

민트앵 2025. 4. 13. 02:44
반응형

정부, 노인 기준 연령 '65세 → 70세' 상향 검토… 왜 지금일까?

정부가 만 65세로 고정되어 있던 노인 연령 기준을 상향 조정하기 위한 본격적인 논의에 착수했습니다. 기대수명이 늘고 있는 상황에서 복지 재정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움직임인데요. 하지만 그에 따른 노인 빈곤, 소득 공백, 복지 반발 등의 문제도 함께 거론되고 있습니다.

 

 

왜 지금 ‘노인 기준’을 바꾸려 하나?

  • 기대수명 증가: 1981년 66.7세 → 2023년 83.5세
  • 시민 인식 변화: 평균적으로 70세 이상부터 노인으로 인식
  • 복지 재정 부담: 기초연금 지출만 해도 1년 6조 5천억 원 기준

 

우려되는 문제점들

  • 정년 60세 vs 연금 개시 63세: 소득 공백 발생 가능성
  • 무임승차, 복지혜택 축소: 기존 수혜층의 강한 반발 예상
  • OECD 최고 수준 빈곤율: 66세 이상 빈곤율 39.8%

 

정부의 추진 방향

  1. 범부처 협의체 구성: 복지부, 기재부, 고용부 등 참여
  2. 2024년 말까지 집중 논의
  3. 단계적 상향 및 제도 정착 검토: 70세 → 75세까지 가능성

 

 전문가 제언: 신중하고 유연한 접근 필요

 

노인 기준 상향은 단순히 나이 숫자를 바꾸는 것이 아닌, 전반적인 제도 개편이 병행돼야 합니다.

개선 항목 권고 방향
정년 연장 60세 → 63세 이상으로 점진적 연장
연금 개시 연령 상향에 맞춘 유연한 연금 개시 설계
취약계층 보호 건강·소득 격차 반영한 예외 조항 마련
도입 방식 출생연도 기준 단계적 적용

 

현재 정부의 '노인 기준 상향' 논의는 인구 구조 변화와 재정 건전성 측면에서 불가피한 흐름입니다. 그러나 복지 축소에 대한 우려를 잠재우기 위해서는 정년, 연금, 일자리, 건강격차 등의 문제를 함께 고려한 정교한 제도 설계가 필수적입니다.

 

 

 

 
반응형